포트번호 2

[모두의 네트워크] 6장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3. 전송 계층의 역할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 전송 계층에서는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오류를 점검하여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 전송하는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지 식별하는 기능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 전송 계층에서의 특징은 신뢰성/정확성과 효율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연결형 통신 연결형 통신은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결형 통신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여러번 확인하고 보내는 과정을 거칩니다. 연결형 통신에는 TCP 프로토콜이 사용됩니다. 비연결형 통신 비연결형 통신은 효율적으로 빠르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연결형 통신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확인하는 과정이 없이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

CS/Network 2024.01.03

포트번호? 8080:8080 그게 뭐지??

도커 컴포즈 파일이나 도커를 작성할 때, 또는 흔히들 포트번호를 입력하여 통신을 한다. 나는 이걸 그냥 감으로만 캐치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본질적으로 포트번호 충돌이 일어나도, 대충 숫자만 바꾸는 식으로 진행했다. 그런데, 이번에 docker compose를 작성하면서, 포트번호에 대한 의문점이 생겼고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멘토(?)에게 자문해봤다. 그리고 이 글은, 그렇게 간단하게나마 포트번호에 대한 개념을 최소한의 데이터 통신의 지식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쓰였다. 우선 우리는 많은 서비스에서 API로 요청을 하거나, DB를 설정할 때, 프론트와 백의 소통에서 포트번호를 일치해줘야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막상 쓸 때는 '숫자만 대충 맞으면 되지'라는 식으로 진행했지만, 직접 작성하려고 하니, 무슨..

CS/Network 202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