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code로 개발 중인 서버에 ssh 접속을 할 때가 있는데, 왜인지 자꾸 비밀번호를 두번 묻는 것과 이러저러한 것이 귀찮아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는 방법이 없을까 하고 찾던 도중 key를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는 방법을 알아냈고, 이 방법을 정리한다.
1. key 발급
ssh-keygen -t rsa -b 4096
터미널에 위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경로나 여러가지를 묻는다. 이 때는 그냥 Enter를 쳐주어 기본 값으로 입력되게 하자.
나같은 경우는 이미 존재하였기 때문에 Overwrite 문구가 추가적으로 나온다.
여기서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의 경로에 키가 발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키가 발급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오게 된다. 그럼 ~/.ssh/로 이동하자.
cd ~/.ssh/
2. id_rsa.pub 복사하기
.ssh 폴더로 들어가게 되면 id_rsa와 id_rsa.pub이 보인다. id_rsa는 private key로써 우리가 갖고 있는 키이며 id_rsa.pub은 외부 서버에 입력해두는 키이다.
id_rsa.pub의 내용을 복사하여서 원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경로에 입력해주면 된다.
우선 서버에 이동 후, .ssh로 이동한다.
cd ~/.ssh/
그리고 vi를 통해서 authorized_keys라는 파일을 만들어준다.
vi authorized_keys
그 후, 해당 파일 안에 우리가 아까 복사해두었던 id_rsa.pub을 붙여넣어준 후 저장한다.
또는 scp를 이용해서 내 로컬 컴퓨터에서 원격으로 파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
scp ~/.ssh/id_rsa.pub [hostName]@[IP address]:.ssh/authorized_keys
여기서 hostName과 IP address는 자신에 맞게 값을 입력해주면 된다. 그러면 해당 서버에 내용이 옮겨지게 되었을 것이다.
3. config 파일 수정하기
아마 로컬 컴퓨터에 ~/.ssh/config 파일이 존재한다. 해당 파일을 열어 아래와 같이 변경해주자.
Host [alias]
HostName [IP address]
User [host name]
IdentityFile ~/.ssh/id_rsa
기존에 vscode로 ssh 접속을 해왔다면 IdentityFile을 제외한 나머지는 아마 입력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IdentityFile만 추가해주자.
4. 완료
이제 비밀번호를 묻는 과정이 생략된다. 야호!!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 클럽 1기] 1. 나는 왜 개발자가 되고싶은가? (2) | 2024.04.13 |
---|---|
[혼공SQL] 혼공단 11기 활동 회고 (33) | 2024.02.17 |
[라즈베리파이] 초기세팅부터 무선으로 원격접속까지 for Mac (1) | 2024.01.02 |
[깃/git] 커밋 기록들을 다른 브랜치로 옮겨보자 (0) | 2023.11.08 |
[도커/Docker] multi-stage build란?? (0) | 2023.08.31 |